지역 편중·발전 설비 개선 등 가능 “지원법 개정 시급”

ⓒ위클리서울/픽사베이
ⓒ위클리서울/픽사베이

[위클리서울=방석현 기자] 재생에너지 시장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가상발전소(VPP)가 우리 기업들의 진출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가상발전소는 분산된 전원을 통합관리하는 플랫폼인데 관련 법·제도를 정비해 시장을 선점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에너지원별 균등화 발전원가(LCOE)는 가정용 태양광이 달러당 140MWh(메가와트시)로 제일 높게 나타난다. 상업용 태양광(97MWh), 석탄(95MWh), 해상풍력(78MWh), 가스복합(65MWh), 원자력 등이 뒤를 잇고 있다.

현재 재생에너지 발전의 LCOE가 달러당 82.7/MWh이기 때문에 향후 지속적인 하락이 예상된다. 미국 환경보호청도 2032년까지 신차 판매의 67%를 전기차로 규제하겠다는 정책을 내놨기에 향후에도 재생에너지 확산세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한국도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이지만 현재 태양광 발전 설비는 호남과 경남에 편중돼 있는 데다 최근 발전량 증가로 전력 송전망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이의 개선 방안으로 가상발전소가 주목받고 있다. 

가상발전소 왜 중요한가?

분산에너지는 태양광, 풍력 등 전력이 사용되는 지역 인근에서 생산·소비되는것 뿐만 아니라 유휴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 수요를 조절함으로써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는 ‘수요반응’ 등을 포함한다. 

재생에너지는 날씨, 시간대, 계절 등에 따라 발전량이 일정치 않기 때문에 원활한 이용을 위해선 발전량과 사용량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남는 전력을 저장하거나 제어하는 ICT 기술이 필수다. 이에 소프트웨어를 통해 발전소와 같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플랫폼이 가장발전소다. 

미국 LCOE에서 알 수 있듯 주요국들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글로벌 협약에 따라 재생에너지 사용이 확대될 전망인데,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가상발전소 시장의 성장도 예상되고 있다.

최근 유럽, 미국 등 주요국에선 가상발전소 확대를 위해 국가별 지원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실증및 수익화에 성공한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전기차로 유명한 테슬라는 재생에너지 사업, 소프트웨어 기술, 전기차 배터리 등을 기반으로 ‘에너지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미국, 호주, 일본 등에서 대규모 실증 사업 구축한 상태다. 

글로벌 석유기업 쉘은 유럽 최대 가상발전소 운영사인 넥스트크라프트베르케를 인수하기도 했다.

Global Industry Analysis에 따르면 세계 가상발전소 시장 규모는 2018년 3억2000만 달러(약 4000억 원) 수준에서 연평균 31.2% 성장해 2024년에는 17억3000만 달러(약 2조3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 시장 선점위한 법·제도 정비 등 지원 확대 필요

우리나라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30년까지 21.6%, 2036년까지 30.6%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성장하고 있는 재생에너지 시장의 가상발전소 분야에 진출하기 위해 한국형 통합발전소(K-VPP)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기업 중에선 한화솔루션이 선도적이다. 이 회사는 미국 주택·상업용 태양광 모듈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M&A, 투자를 병행하면서 호주를 시작으로 가상발전소 시장에도 진출을 타진하고 있다.

이밖에 KT, SK E&S, 한국전력정보, 에이치에너지, 솔라커넥트, 서울에너지공사, 해줌 등의 기업들이 소규모 전력 공개시장 사업을 영위하고 있지만 활성화가 지지부진한 상태다.

이창우 KB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가상발전소가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재생에너지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가상발전소 활성화를 위해선 기술 발전, 법·제도 마련 등 선결 과제가 있으나 M&A, 투자, 새 비즈니스 모델 등장 등 전력 시장 개편이 가시화되고 있으므로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사업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했다.

김준섭 KB증권 연구원은 “전 세계적인 재생에너지 바람으로 인해 가상발전소 상용화가 주목받고 있는 만큼 한국도 이를 촉진할 수 있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촉진특별법’ 등 계류 중인 법안에 대한 점검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